라부부는 왜 금보다 수익률이 좋을까?
"이 인형 얼마에 구매하실 건가요? 2만 원, 10만 원, 2억?"
2억이요. 네, 진심입니다.
지금 당신이 잘 모를 수도 있는 인형, 이름하여 ‘라부부’. 이 괴상하게 귀엽고 기묘한 생명체가 요즘 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라부부, 대체 정체가 뭐길래?
"처음엔 그냥 몬스터 같았어요. 근데 보다 보니까 너무 귀여운 거예요. 특히… 엉덩이 털이요."
라부부는 **중국 캐릭터 브랜드 ‘판마트(Pop Mart)’**에서 출시한 미스터리 박스 피규어의 대표 주자입니다.
정식 이름은 "Labubu(라부부)", 종은 몬스터 요정.
별명은 **‘차세대 헬로키티’**라고 불릴 정도로 글로벌 인기몰이 중이죠.
- 생김새는 솔직히 귀엽다기보다 징그럽다?
- 그런데 자꾸 보다 보면 정이 가고,
- 그러다 보면 어느새 컬렉션을 다 모으고 있는 자신을 발견…
2025년 현재, 라부부는 헬로키티, 디즈니 캐릭터의 인기도를 뛰어넘고 있으며,
블랙핑크의 리사, 마돈나, 베컴 등 세계적인 셀럽들의 애장템으로 등극했습니다.
전 세계가 열광하는 이유: 귀여움 하나로는 부족하다
줄 서서 사고, 밀수입까지…?
인형 하나 사려고 새벽 3시부터 줄을 서고, 영국과 인도네시아에서는 몸싸움까지 벌어진다는 라부부.
이쯤 되면 단순히 귀여워서가 아니라, 그 안에 복합적인 심리적 작동 원리가 있습니다:
1. 한정판 + 랜덤박스 = 소비자의 심장을 뛰게 한다
라부부는 한정 수량으로 출시됩니다. 심지어 그 안에서도 특정 컬러는 시크릿 에디션이라 불리며,
희소성의 끝판왕을 자랑하죠.
게다가 박스를 열기 전까지 어떤 제품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랜덤박스 시스템.
이게 뽑기의 짜릿함, 일명 ‘가챠의 쾌감’을 줍니다.
"핑크색 뽑으려고 매일 출근 전 편의점 들렀어요. 어느 날 직원이 저를 기억하더라고요."
2. ‘희소성 소비’ 심리를 자극한다
사람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싶어합니다.
누구나 가질 수 없는 ‘라부부 시크릿 컬러’를 가짐으로써
**“나는 특별해”, “나는 트렌디해”**라는 정체성을 과시하게 되는 거죠.
이는 맛집 웨이팅과도 비슷합니다.
**"줄 서서 먹는 건 다 이유가 있다"**는 대중 심리를 그대로 캐릭터 시장에 접목시킨 셈입니다.
금보다 높다? 라부부의 놀라운 수익률
자, 이제 본론입니다.
"라부부가 금보다 수익률이 높다", 이게 진짜일까요?
투자 사례
- 리사가 들고 있던 브라운 라부부: 출시가는 20만 원대 → 현재 중고 거래가 70만 원
- 한 달 만에 약 250% 수익률
- 시크릿 에디션의 경우, 연평균 수익률 300% 이상 기록 (출처: Pop Mart 2025 1분기 보고서)
이는 금의 연평균 수익률(약 5~8%)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차이입니다.
라부부 시크릿 에디션 | 약 300% | 랜덤박스 특성 |
비트코인 (2020~2025 평균) | 약 70% | 변동성 매우 큼 |
금 | 약 7% | 안정적이나 낮음 |
판마트의 상승 곡선
라부부 열풍은 회사의 성장으로도 이어졌습니다.
- 2025년 1분기 해외 매출 480% 증가
- 시가 총액: 3억 홍콩달러 클럽 가입
- 창업자 왕닝, 순자산 203억 달러 기록
이쯤 되면 라부부는 단순한 인형이 아닌, 하나의 경제 생태계라고 봐야 합니다.
그렇다면, 라부부 열풍은 지속 가능할까?
전문가들은 라부부가 지금의 인기를 ‘심리적 만족 소비’ 패턴으로 분석합니다.
즉, 헬로키티나 디즈니처럼 감성적 유대감이 아닌 희소성과 유행성에 기댄 인기란 것이죠.
“문제는 지금의 인기보다, 앞으로 정서적 연결고리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입니다.”
– 소비심리학자 이가은 교수
향후 과제
- 브랜드 정체성 강화: 단순한 컬렉션을 넘어 세계관 구축 필요
- 정서적 연결: 팬덤 중심의 커뮤니티 육성
- 지속 가능한 IP 전개: 애니메이션, 게임 등 2차 확장
한국에도 라부부 열풍이 올까?
현재 한국에서는 라부부가 마니아층 중심으로 퍼지고 있지만, 대중적인 붐은 아직 미지수입니다.
하지만 셀럽의 인증, SNS 바이럴, 그리고 무엇보다 재테크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조용히 입소문을 타는 중이죠.
“그때 그거 왜 샀어?”
→ “지금? 그게 3배 올랐어.”
이런 말 한 마디면 끝입니다.
라부부는 그냥 인형이 아니다
라부부는 지금,
- 트렌드의 정점
- 희소성 소비의 대표 주자
- 그리고 놀라운 수익률의 신개념 투자 자산입니다.
귀엽고 괴상한 외모 뒤에는
현대 소비자 심리, 경제 전략, 문화 트렌드가 교차하는 지점이 숨어있죠.